철릭이란?
철릭은 한복의 한 종류로, 철릭이란 몽골어 테를릭(솜을 댄 포)에서 유래한 말이며 과거에는 한자로 천익(天翼), 첩리(帖裡) 등으로 적었습니다.
하지만 색으로 구분해서 입은 건 조선 후기로, 작중의 배경이 되는 조선 초기 때에는 문무관 차이 없이 홍철릭이 정식이었습니다.
모자 역시 전립을 쓰는 것도 오류로, 흑립을 썼었습니다.
철릭의 역사
철릭은 원피스 형태로 사방이 막힌포입니다.(트임이 있는 철릭도 있음)
고려시대 때 몽골 제국에서 들어와 왕이나 문무관들의 복장으로 사용되었는데 조선시대 들어서는 사대부들이 일상적인 외출복으로도 입을 만큼 대중화되었습니다.
곤룡포, 단령 등 관복의 속옷으로 입기도 하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융복 내지는 무관들의 평상복으로 완전히 정착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전체에 걸쳐 유행하였으나 시기에 따라 양식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형태에서도 변화가 있었는데, 초기 철릭은 몽골의 영향으로 소매가 좁았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매가 점점 넓어졌습니다.
철릭의 색깔로 계급을 구분하는 것은 조선시대 후기부터입니다.
당상관이 남색, 당하관이 청현색·홍색입니다.
또한, 사극처럼 당상관이 홍색을 입고 (당하관의 상급인) 참상관이 청색, (당하관 하급인) 참하관이 녹색을 입는 건 사실과 다릅니다.
사극에서 관복의 색으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후기이전까지는 그렇게 색상으로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영조 이전까지 홍색 숭상 풍조 때문에 홍색을 많이 입었을 뿐입니다.
철릭의 특징
철릭은 저고리에 치마가 합쳐진 원피스 형태의 외출복으로 치마 부분에는 주름이 잡혔습니다.
소매는 활동성을 위해 반소매로 만들어서 매듭단추를 달아 긴소매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허리에는 광다회(실띠)나 전대(넓은 천 띠)를 둘렀습니다.
경우에 따라 위에 쾌자를 걸쳐 입기도 했습니다.
특이한 점은 상하의를 따로 만든 후에 허리 부분을 기워 붙여서 완성시킨다는 점입니다.
그 덕분에 허리 라인이 상당히 잘 드러납니다.
무관들이 입는 융복 이외에도 의외로 일상적인 외투로서 사용되기도 한 모양입니다.
더불어서 원피스 형태인지라 어떻게 보면 참 매력적입니다.
형태가 아름다워서 디자이너들이 철릭을 개량한 여성용 원피스를 만들기도 합니다.
실제로 개화기인 1905년쯤 철릭 형태의 여성용 민소매 한복 원피스가 등장했었습니다.
구군복과 마찬가지로 무반의 관복으로 사용되어서 둘을 헷갈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철릭은 고려시대부터 입기 시작한 의복으로, 조선시대 들어서도 여전히 융복이라는 이름으로 벼슬아치가 입는 융복이었습니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 들어서 무관들이 입는 군복(구군복)이 생기면서 철릭은 보다 일상적인 복장으로 바뀌었습니다.
두 옷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후에 만들어진 구군복과 비교하면 간단한 모양 때문인지 조선 후기에 그려진 그림을 보면 구군복을 입은 무관이 철릭을 입은 부하들을 지휘하는 모습이 나오지만 고증오류입니다.
구군복을 입으면서부터 무관들의 관복을 제외한 복식은 철릭과 혼용해서 착용하지 않았습니다.
이 외에도 철릭은 갑옷 속에 받쳐 입는 용도로도 사용되었습니다.(조선 후기에는 구군복을 받쳐 입음)
대중매체의 철릭의 모습
후대에는 사대부들의 일상적인 옷차림으로 사용되기도 한 만큼, 대중매체에서 관군이나 관에 고용된 무사들의 복장으로도 등장합니다.
추노에서 송태하나 황철웅이 애용하던 긴 옷이 바로 철릭입니다.
불멸의 이순신에서 장군들이나 호위무사로 등장한 날발 등도 철릭을 입었습니다.
쾌자를 입은 검객들이 대부분 야인 취급인 반면, 철릭을 입은 검객들은 좀 더 중후한 이미지입니다.
격한 액션에서 동반되는 철릭의 움직임 또한 휘날리는 코트 같은 매력이 있습니다.
특히, 사극에선 사또들의 부관들이 입는 복장으로 자주 나옵니다.
조선군 군관이나 그 이상 계급 인물들도 자주 입는다고 묘사하곤 하는데, 착용자가 전립을 썼다면 거의 대부분 파란색, 쓰지 않았다면 빨간색 철릭을 걸친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 색상들도 있긴 하지만 잘 나오지 않습니다.
영상매체에는 등장이 많지만, 만화 같은 다른 매체에서는 상대적으로 잘 나오지 않습니다.
일단 한복답게 그리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치마 부분 주름을 표현하는 것이 가장 큰 난점인데, 그림으로 보면 살짝 펑퍼짐한 원피스(...)가 되어버리기 쉽기 때문인 듯합니다.
그래도 제대로 표현한다면 굉장히 간지폭풍 멋지기 때문에 일러스트레이터들이 남자 한복을 그릴 경우 두루마기, 쾌자와 함께 자주 등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