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3

[쉬운 경제상식] 외국인 투자자와 한국 주식시장과의 관계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는 약 500만 명의 투자자가 있는데 이들은 크게 개인투자자, 기관투자가, 외국인 투자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인투자자는 일명 '개미투자자'라고도 하죠. 주식투자자의 99%가 바로 개인투자자입니다. 기관투자가는 투자신탁회사, 증권회사, 은행, 보험회사, 투자금융회사, 종합금융회사, 연기금 등의 법인들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는 대부분 외국의 투자은행, 증 권회사, 보험회사, 헤지펀드 등입니다.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 바로 외국인입니다. 주식투자자의 0.55%에 불과하지만 한국 주식 시가총액의 30%를 가지고 있으므로 주가를 끌어올리기도 내리기도 쉽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공격적으로 사면 주식시장이 강하게 오르고 좀 세게 팔면 주식시장이 내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 이런.. 2022. 12. 27.
[쉬운 경제상식] 한국 경제의 특징(무역의존도, 내수시장, 대외의존도) 한국의 무역의존도 한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죠. 수출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지 아시나요? 한국의 무역액(수출+수입)은 2011년에 1조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각 나라의 경제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GDP 대비 무역의존도로 계산하는데요. 각 나라마다 경제규모가 다르고 무역규모도 다르다 보니 비교의 기준이 있어야 하고, 그 기준을 GDP로 삼은 것입니다. 우리나라 GDP(2011년 예측치)가 1조 1,265억 달러이고, 무역액이 1조 796억 달러(수출 5,552억 달러, 수입 5,244억 달러)이면 무역의존도는 약 96%인 것입니다. 무역의존도가 100%를 넘는 나라도 간혹 있는데요. 홍콩이나 싱가포르는 무역액 규모가 GDP의 3배가 넘습니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어디가 있을.. 2022. 12. 27.
[쉬운 경제상식]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왜 인플레이션이 생길까요? 수요 인플레이션은 수요가 늘어나 생기는 인플레이션이며, 경기가 좋고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나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오릅니다. 비용 인플레이션은 기업의 비용이 늘어나 생기는 인플레이션으로, 석유나 철, 곡물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물가가 오르는데요. 임금, 지대(땅값, 임대료) 등이 상승해도 인플레이션이 생기죠. 물론 이외에도 유통단계가 늘어나거나 독과점화가 심해져도 제품의 가격이 오르고 물가상승에 영향을 줍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은 더 근본적으로는 통화량과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통화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이 크게 늘어나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합.. 2022. 12. 27.
바벨탑, 왜 실패했나(바벨탑 뜻) 이집트의 피라미드보다 훨씬 앞서 지어진 고층의 건축물이 있습니다. 바로 ‘바벨탑’입니다. 바벨탑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의 건축물일 뿐 아니라 성서가 사라지지 않는 한 앞으로도 영원히 유명할 것입니다. 바벨탑은 잘 알려진 것처럼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등장합니다. 인간들이 자신의 이름을 떨치기 위해서 하늘에 닿을 만큼 높은 탑을 짓기로 하는데, 신이 인간의 오만함을 벌해 서로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했고, 결국 탑을 끝까지 쌓지 못한 채 온 세상에 흩어졌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인간의 오만함으로만 해석한다면 좀 아깝습니다. 바벨탑을 쌓으려 했던 이들은 노아의 후손이었습니다. 그들은 대홍수에 대한 대비책으로 높은 탑을 쌓으려고 했습니다. 신의 입장에서 괘씸했을 것입니다... 2022. 12. 27.
반응형